현대인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다양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공황장애, 불안장애, 우울증, 조울증 진료를 받은 환자가 31.8% 늘어났다고 한다. 스트레스 예방을 위해서 그 원인을 찾아 해결해야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수면과 마음의 휴식을 같이 취하면 좋다. 그래서 각종 스트레스와 정신질환의 치료법 중 하나로 명상이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기사에 명상심리 어플리케이션 코끼리가 런칭 두 달 만에 누적 가입자 9만 건을 돌파했다고 한다. 국내 구글스토어 건강 및 피트니스 분야 인기 순위에서 1위를 기록했다. 명상 심리 어플 코끼리는 스마트폰을 통해 집에서 명상을 배우거나 심리수업 강좌를 들을 수 있는 모바일 앱 서비스다. 마음이 편안해지는 앱을 슬로건을 내세우며 정신과 치료 및 상담을 꺼리는 현대인들이 자신의 마음을 돌볼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한다고 한다.

이 어플은 아래와 같은 내용들로 구성된다.

매일 업데이 되는 명상 음원

다양한 전문가 선생님들이 함께하는 심리 수업

해외아티스트들과 작업한 힐링 음악

자신의 기록과 즐겨찾는 컨텐츠를 관리하는 기록

또한 헤드티쳐혜민 스님이 직접 제작한 명상 컨텐츠 100여편과 곽정은 작가를 비롯한 전문선생님들의 수업 60편이 수록 되어 있다고 한다.

 


 

√ 명상이란?

명상(瞑想)의 한자어원은 눈을 감고 조용히 생각한다는 뜻이다. 명상(mdeitation)의 라틴어원인 mdeitari 역시 곰곰이 생각한다라는 의미로 동서양 모두 고요한 상태에서 깊게 생각한다는 유사한 어원을 갖고 있다. 명상은 몸과 마음에 대한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몸, 의식, 행동 간의 상호작용에 집중하는 것이다.

 

 

 

√ 명상의 종류

 

1. 집중명상

사마타(samatha) 명상이라고도 하며 눈앞의 점이나 특정 사물 등 변화하지 않는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훈련으로 어떤 대상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수천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2. 알아차림 명상

비파사나(vipassana) 명상이라고도 하는데, 호흡, 감각, 통증 등 변화하는 대상에 집중하고 집중이 흐트러지면 이를 알아차리고 다시 원래의 대상으로 집중을 돌리는 식으로 연습한다. 지금-여기에서 개인적 판단을 개입시키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집중하는 훈련을 통해 생각, 감정, 욕구 등을 쉽게 알아차리게 된다.

 

 

 

3. 마음챙김 명상

정신의학에서 인지행동치료와 정신분석을 비롯한 심리치료, 의학의 발전과 함께 비약적으로 발전한 약물치료를 통해 정신질환 치료에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런 치료만으로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약물치료와 함께 마음챙김 명상도 함께 병행하면 좋다.

마음챙김 명상은 의도적으로 자신의 마음에 주의를 기울이는 방법을 훈련한다. 명상을 비롯한 여러 방법으로 자신의 감각과 생각, 감정을 자각하고 이를 통해 생각-욕구에 집중되어 있던 주의가 신체 감각들로 분산되고, 생각욕구가 줄거나 사라지는 상태를 추구한다. 현재 겪고 있는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며 고통에 대한 의미없는 노력은 사라지고 고통 또한 서서히 사그라지는 것을 경험한다. , 고통에 대해 무엇인가를 하기보다는, 그 순간에 머물러 있기를 택하는 것이다.

 

 

 

 

♣ 마음챙김 명상의 4가지 원리

 

1) 탈중심화

우리는 우리가 속해 있는 문제에 빠져있다. 마음챙김 명상을 통해 마음이 만들어낸 문제들에서 벗어나 거리를 두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문제에서 잠시 벗어나면, 현명하고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는 있다.

 

2) 비판단적인 알아차림

떠오르는 생각과 신체감각, 감정들을 그대로 인식하는 것이다.

생각, 감각, 감정에 의미를 부여하고 꼬리표를 붙이면서 우리는 고통에 빠지게 된다.

좋다/싫다 혹은 갖고 싶다/ 없어지면 좋겠다 라는 판단을 배제하고, 우리 주변에서 떠오르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면 우리의 마음을 어지럽히는 고통의 상당수가 사라질 것이다.

 

3) 놓아주기

우리의 마음에서 떠오르는 것을 알아차렸다면, 다음 단계는 그것을 붙잡지 않고 그대로 놓아주는 것이다. 갖고 싶은 것에 집착하려 하고, 갖기 싫은 것은 피하려고 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고통은 여기에서 생겨나는 것이므로 시냇물에 흘러내려 온 나뭇잎이 지나가는 것을 바라보듯 그렇게 놓아주어야 한다. 그러면 우리의 마음은 평온해진다.

 

4) 현재에 집중하기

마음에 떠오른 것들에서 거리를 두고, 알아차려 가만히 지켜볼 수 있다면 우리의 삶에 여유가 생기기 시작한다. 우리의 삶을 온전하게 살아낼 수 있다. 인간의 마음은 끊임없이 과거와 미래를 오가며 의미를 부여하고 고통을 만들어낸다. 마음이 만들어 낸 덫에 빠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지금, 바로 현재 이 순간(here&now)에 충분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요즘 나도, 1년간 괴로운 일이 너무 많았고, 과거에 사로잡혀 다시 돌아가고 싶어하다가 일어나지 않을 지도 모르는 미래를 두려워하며 고통스러운 날들을 보낼 때가 많다. ‘이번 생은 틀렸어’ ‘다시 태어나야 해’ ‘또 태어나려고?’ 하는 이런 생각들이 꼬리를 물고 일어날 때가 많다. 지금 이 순간, 여기서 행복한 것이 중요하다. 과거와 미래는 중요하지 않다. 명상을 통해 나의 마음을 다독여 행복해지고 싶다.

'건강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도결석  (0) 2019.10.27
지도상혀(지도설)  (0) 2019.10.26
늙은 호박(죽) 효능 - 10월 제철음식  (0) 2019.10.25
양파즙의 효능, 선택기준  (0) 2019.10.24
일자목(거북목) 증후군  (0) 2019.10.24

+ Recent posts